자녀들은 아빠와의 좋은 관계를 만들때
자신의 삶에 바른 선택과 결정을 내릴수 있다.
"자식 대학졸업은 아빠하기 나름"
<美버지니아대>
(애틀랜타=연합뉴스) 김재현 특파원 = 아버지의 사랑과 관심이 자녀의 대학 생활과 학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크리스천포스트 등 미국 언론이 보도했다.
버지니아대의 W. 브래드퍼드 윌콕스(사회학) 교수 연구팀이 1994년부터 2008년까지 3차례에 걸쳐 남녀 고졸자를 추적 조사한 결과 아버지가 성장기 교육에 관여했다는 응답 집단의 대학졸업률이 그 반대보다 평균 98% 높았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자에게 아버지가 스포츠활동을 함께 했는지, 숙제를 도와줬는지, 개인 문제로 대화를 나눴는지 등을 물었더니 82%가 '그렇다', 18%가 '아니다'라고 답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매우 그렇다'는 응답자의 대학졸업률은 '아니다'보다 105% 높았다.
또 아버지와 관계가 좋을수록 아들이 커서 비행을 저지르거나 딸이 일찍 임신하는 확률이 그만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아버지라도 기혼의 친아버지이거나 친어머니와 사는 친아버지일수록 상대적으로 자녀에 대한 관여도가 높았다.
버지니아대의 '결혼프로젝트' 책임자이기도 한 윌콕스 교수는 아버지가 자녀 교육의 자극제임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특히 아버지의 관심이 대학졸업에 큰 변수가 되는 것은 힘든 일에 도전하라고 자녀를 몰아붙이는 성향이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강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자에게 아버지가 스포츠활동을 함께 했는지, 숙제를 도와줬는지, 개인 문제로 대화를 나눴는지 등을 물었더니 82%가 '그렇다', 18%가 '아니다'라고 답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매우 그렇다'는 응답자의 대학졸업률은 '아니다'보다 105% 높았다.
또 아버지와 관계가 좋을수록 아들이 커서 비행을 저지르거나 딸이 일찍 임신하는 확률이 그만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아버지라도 기혼의 친아버지이거나 친어머니와 사는 친아버지일수록 상대적으로 자녀에 대한 관여도가 높았다.
버지니아대의 '결혼프로젝트' 책임자이기도 한 윌콕스 교수는 아버지가 자녀 교육의 자극제임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특히 아버지의 관심이 대학졸업에 큰 변수가 되는 것은 힘든 일에 도전하라고 자녀를 몰아붙이는 성향이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강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일상이 묵상이 되다 > 다큐&뉴스 그리고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의 목표는 웃음이다(유재석) (0) | 2014.05.04 |
---|---|
트라우마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너머의 삶 (0) | 2014.05.03 |
류현진선수가 던지는 3개의 변화구 (0) | 2014.04.15 |
종교의 분파주의가 테러로 이어진다. (0) | 2014.03.29 |
한국의 암발병순위 갑상선암 1위인 이유 (0) | 2014.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