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자는 누구이며 이민교회는 왜 존재하는가?(송병주목사)

 

이민에 대한 2가지 이해차이

 

Migration (이주자)

풍요와 성취를 위해 고향을 떠나는 것을 말한다. 정착이 목적이 아니라 목표와 성취가 주된 이주의 목적이다. 그래서 원하는 것을 얻고 성취하면 다시 돌아가는 것을 전제로 이주하는 것을 말한다. 원하는 목표를 이루었거나 풍요로움을 성취하지 못할 경우 떠날 수 있다.

Contextualization(상황화) 보다는 자기 고유 문화와 언어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적극적으로 새로운 지역의 문화와 변화에 뛰어들지 않고 떠나온 모국과 더 연결이 되어 있다. 자기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고, Migration 에서 Immigration으로 전환할 경우 자기 특징을 강하게 유지하면서도 큰 영향력을 갖는다.

사례:

 

Immigration (이민자)

생존을 위해 기존의 삶을 터전을 떠났지만, 새로운 땅에 정착하여 사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래서 손님이 아닌 주인으로 개척자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힘들고 어려워도 떠나지 않고 새로운 고향을 만들려고 한다.

상황화를 적극적으로 한다. 하지만, 목표를 이루는 의식은 약하고 희생을 해서라도 다음 세대를 위해 발판이 된 것을 성공이라고 생각한다. 새 문화와 언어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자기 언어와 문화를 지키는 것에 큰 열정이 없다. 적응은 했지만, 영향력을 갖지 못하고 정체성 문제에 시달릴 수 도 있다.

사례:

 

Diaspora 이민

성경적 근거 / 벧전 1:1-2 Scattered Strangers but Chosen people

 

 

역사적 근거

바벨론 포로시기 때

 

로마 식민지 시대 때

 

디아스포로를 쓰신 하나님

구약의 디아스포라 이민자와 이민공동체

 

 

신약의 디아스포라 이민자와 이민공동체

 

 

 

우리는 어떤 이민자이며, 이민교회는 왜 존재하는가?

  

통계로 보는 영주 이민상황과 이민교회

 


 

분석 소위 말하는 영주이민의 성정과 교회 성장은 궤적을 같이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2,000년 부터는 영주이민의 급속한 감소와 함께 교회의 숫자도 줄어들고, 이민교회는 일본 커뮤니티처럼 감사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 영역은 바로 그렇게 줄어들어 갈 것이라는 예측으로 채워져 있었다.


결과 - 지금 우리가 보는 것처럼 한인교회는 줄어들지 않았다. 그렇다고 영주이민이 늘어난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간과된 다른 요인이 있다는 것이다.

 

통계로 보는 비영주 이민상황과 이민교회

 

분석

소위 말하는 비영주 이주자의 숫자가 폭발적으로 늘었다는 것을 보게 된다. 소위 영주이민은 줄었지만, 유학생과 주재원과 투자이민이 급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맞추어 한인교회의 숫자 성장도 본격적으로 상승을 이루고 있다.

동시에 비영주 이주자들의 영주권 전환율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그러면서 교회의 양적 성장이 급격화된다. 주로 한국에서 건너온 유학생, 주재원이 한인 교회의 성장에 영향을 주고 있다면 주로 이시기에 어떤 한인교회, 어떤 목회자 유형과 어떤 유형의 한인 교회가 급성장하게 되었을까?

우리는 여기서 한인교회는 Immigration Migration 이 겹치고 있는 것을 본다. 이 겹침 현상이 어떤 이슈를 만들어 낼까?

늘어나는 비영주 이주자의 폭발적인 성장에 비해 교회 성장은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어떤 이유일까?

 

 

이상의 3항과 4항을 통해 확인할 사항

 

이민교회는 Contemporary Korean Church 의 유형을 받아들인 교회가 더욱 성장하였다. 역설적이게도 오히려 이런 교회가 가장 미국교회와 유사하다.

2010년도 이후 비영주 이주자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한인교회 성장률 둔화를 보면, 한국의 반기독교 정서가 그대로 반영되고 있음을 또한 발견하게 된다. 목회자 유학생과 이민목사 숫자가 늘어 남에도 불구하고 교회 성장의 둔화는 매우 심각한 결과임을 보게 된다. 그러므로 동시대성과 교회의 본질의 회복, 그리고 교회갱신과 사회참여의 회복을 발견하게 된다.

 

개인적인 분석은 지금 이민교회는 한국의 Leading church와 매우 연관이 되어 있다. 그러면서 동시에 다음을 위해서는 한국교회의 갱생을 촉구하는 긴장을 함께 요구하는 자리에 서야 한다. 아직은 1세가 한인교회의 Leading group 인 것은 현실적 상황이다.

 

2세들의 5%가 교회를 출석하고 있다는 한인 청소년 사역의 보고는 매우 충격적이다. 소위 말하는 Silent Exodus 가 일어나고 있다. 이민자의 숫자가 는 것만큼 자녀세대의 숫자적 증거는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2세교회의 성장은 일부를 제외하고 답보상태에 있다.

교육부 자녀들에게 한인교회는 Mother church로서가 아니라 Mother’s church로서 존재한다. 교육부에 대한 부모 세대의 동참과 교회적인 관심의 전환이 일어나지 않으면 2세사역은 보이지 않는다.

 

 

맺으며

성경적인 Diaspora 이민 교회의 모델(Missional church)을 찾아가야 한다.

 

 

현실적인 이주와 이민의 차이를 이해하고 모델을 찾아가야 한다.

 

 

2세와 다음세대를 준비하고 동역하는 새로운 모델을 찾아가야 한다.

+ Recent posts